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서양철학사 2

sdhyrg4d 2023. 2. 24. 01:09

  러셀의 서양철학사를 읽다가 계독을 위해서 거금들여 구매.과연 로고스적 세계관이 계속 이어지는 듯한 점이 흥미롭다. 또한 막연하게 서구철학 사상이 더 세련되고 뛰어나다는 편견을 갖고 있었는데, 동서양을 두루 살펴보며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권쪽 후반부는 역시 초반부보다 어렵다. 복잡하고 잘 와닿지 않는 개념도 많다. 도올 말대로 서구 철학은 너무 필요없는 말이 많은 것 같기도 하다. 시간이 부족하지만 두고두고 음미해봐야 내것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합본판이 있었는데 실수로 분권을 구매한게 아쉽다.

철학사를 항해하는 데 함께할 최고의 길잡이!노르웨이의 교양 철학 교재에서 출발해 전 세계 14개 언어로 번역된시르베크와 길리에의 서양철학사, 한국 최초 번역이 책은 노르웨이를 대표하는 철학자인 군나르 시르베크와 닐스 길리에가 함께 쓴 서양철학사로, 1972년에 처음 노르웨이에서 출판된 후 7차례 개정판이 나왔고,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는 물론 러시아어, 중국어, 아랍어를 포함하여 전 세계 14개 언어로 번역된 명저이다. 인구 500만 명의 노르웨이에서 출판된 철학사 책이 14개 언어로 번역되어 다른 지역으로 널리 퍼져가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이 책의 내용이 탄탄하다는 말일 것이다. 이 책은 애초에 철학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 대학생들을 위한 교양 철학 교재로 집필되었다. 이후 노르웨이에서는 대학생이라면 전공과 상관없이 반드시 치러야 하는 철학 시험인 ‘엑사멘 필로소피쿰(examen philosophicum)’의 대표적인 교재로 자리 잡았고, 점차 스칸디나비아 전역에서 그 시험 준비와는 상관없이 읽히게 되었다. 현재는 스칸디나비아 지역을 넘어 다른 지역으로 뻗어나가, 거의 전 세계에서 읽히고 있다.이 책은 그동안 나왔던 수많은 철학사 책과는 전혀 다른 시각과 참신한 접근, 그리고 명료한 서술과 혁신적인 구성으로 서양철학사 읽기의 새로운 길을 제시한다. 정통 철학으로 여겨지는 사상들 외에도 우리의 인식에 영향을 끼친 여러 분과학문들의 성과를 적극적으로 기술하고 있고, 첨예한 논점에 대한 논의도 피해 가지 않으며, 궁극적으로는 독자 스스로 자신만의 철학적 관점을 형성해갈 수 있도록 정확한 안내점을 제시한다. 독자들은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부터 20세기 말 현대 철학까지 2500여 년의 지적 탐구가 지금껏 보지 못했던 넓고 깊은 스펙트럼 위에서 흥미진진하게 펼쳐지는 모습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제13장 계몽주의: 이성과 진보

1. 근대화와 과학
2. 세속적 행복
3. 몽테스키외 ─ 권력분립과 환경의 영향
4. 엘베시우스 ─ 개인과 쾌락
5. 경제적 자유주의
- 애덤 스미스
- 리카도와 맬서스
6. 루소 ─ 계몽주의 철학에 대한 비판
7. 에드먼드 버크 ─ 보수적 반동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14장 공리주의와 자유주의

1. 제러미 벤담과 제임스 밀 ─ 쾌락 계산과 법률 개혁
- 벤담
- 제임스 밀
2. 존 스튜어트 밀 ─ 사회자유주의 그리고 합리성의 조건으로서의 리버럴리티
3. 토머스 힐 그린
4. 존 메이너드 케인즈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15장 칸트: 철학에서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

1. 선험철학 ─ 인식론
2. 선험철학 ─ 도덕 이론
3. 정치 이론
4. 판단력 ─ 목적론과 미학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16장 인문학의 대두

1. 배경
2. 헤르더와 역사주의
3. 슐라이어마허와 해석학
4. 역사학파 ─ 사비니와 랑케
5. 드로이젠과 딜타이 ─ 인문학의 고유성
6. 역사주의 패러다임의 해체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17장 헤겔: 역사와 변증법

1. 성찰, 변증법, 경험
- 선험적 전제 조건들 ─ 역사적으로 창출되고 문화적으로 상대적인
- 자기 형성의 드라마로서의 경험
- 변증법과 총체성
2. 주인과 노예 ─ 인정 투쟁과 사회적 정체성
3. 이성으로서의 전통 ─ 보편과 개별 간의 긴장
4. 가족, 시민사회 그리고 국가
5. 헤겔에 대한 반박들
- 헤겔의 체계 내에는 개인이 설 자리가 없다
- 헤겔의 철학은 전체주의적이다
- 헤겔은 보수적 이다
- 헤겔의 역사관은 지나치게 낙관주의적이다
- 헤겔의 철학에는 윤리학이 들어설 여지가 없다
- 헤겔의 변증법은 말도 안 되는 헛소리이다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18장 맑스: 생산력과 계급투쟁

1. 변증법과 소외
2. 역사적 유물론
3. 생산력과 생산관계
4. 잉여가치와 착취
5. 맑스에 대한 반론들
- 맑스의 이론은 스스로 자신의 토대를 무너뜨린다
- 맑스의 이론은 경험적이지(empirical) 않다
- 맑스의 예언 중 몇 개는 틀렸다
- 맑스의 계급 및 계급투쟁 개념은 부적절하다
- 맑스는 자연적 조건 의 중요성을 간과했다
- 맑스주의적 사회주의는 죽었다
6. 프리드리히 엥겔스 ─ 맑스주의적 관점에서 본 가족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19장 키르케고르: 실존과 아이러니

1. 직접적 의사소통과 실존적 의사소통
2. 삶의 방식에서의 세 단계
- 교화적(敎化的) 해석
- 종합적 해석
- 아이러니하고 성찰적인 해석
3. 주관성이 진리다
4. 민주주의와 데마고기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20장 다윈: 인간 개념을 둘러싼 논쟁

1. 자연선택과 인간의 기원
2. 다윈주의와 사회생물학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21장 니체와 실용주의

1. 신은 죽었다 ─ 유럽 허무주의
2. 형이상학과 기독교 비판
3. 도덕철학
4. 위버멘쉬, 힘에의 의지 그리고 영원회귀
5. 인식론
6. 진리는 효과이다 ─ 미국의 실용주의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22장 사회주의와 파시즘

1. 공산주의 ─ 레닌: 당과 국가
2. 아나키즘과 생디칼리즘
3. 사회민주주의 ─ 사회복지와 의회주의
4. 파시즘 ─ 민족주의와 질서
- 위기와 행동
- 정치와 경제
- 국가와 인종차별주의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23장 프로이트와 정신분석학

1. 정신분석학: 새로운 인간관
2. 꿈 ─ 무의식에 이르는 길
- 프로이트의 성 이론
- 정신 기구
3. 억압적 문화와 죄책감
4. 정신분석학과 과학철학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24장 사회과학의 대두

1. 배경
2. 오귀스트 콩트 ─ 사회학의 대사제
3. 알렉시 드 토크빌 ─ 미국의 민주주의
4. 페르디난트 퇴니스 ─ 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
5. 게오르크 짐멜 ─ 피륙과 같은 사회적 조직
6. 에밀 뒤르켐 ─ 사회와 사회적 연대
7. 막스 베버 ─ 합리성과 영웅적 비관주의
- 과학철학과 이념형
- 행위 유형과 정당화 형태
- 프로테스탄티즘과 자본주의
- 베버의 시대 진단: 영웅적 비관주의
8. 탤컷 파슨즈 ─ 행위와 기능
- 감정성 ─ 감정 중립성
- 보편주의 ─ 특수주의
- 에고-지향 ─ 집단 지향
- 귀속성 ─ 업적성
- 특정성 ─ 다면성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25장 자연과학에서의 새로운 진전

1. 아인슈타인과 현대물리학
- 자연을 테크놀로지로서 바라보는 것 으로부터 테크놀로지를 가지고 자연을 바라보는 것 으로
- 물리학에 대한 일별
2. 과학적 다양성과 기술 발전 ─ 과학의 적용과 학제적 접근 방식
- 도구적 이성의 유용성과 한계 ─ 규범적 결정 이론의 예시
- 학제적 분석의 필요성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26장 현대 철학 개관

1. 논리실증주의 ─ 논리와 경험주의
- 새로운 논리학
- 논리실증주의와 논리적 원자론
2. 칼 포퍼와 비판적 합리주의
3. 토머스 쿤 ─ 과학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4.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 실천으로서의 분석철학
5. 일상언어철학과 발화행위이론 ─ 오스틴과 설
6. 현상학과 실존주의 ─ 후설과 사르트르
7. 정체성과 인정 ─ 시몬 드 보부아르와 페미니즘 철학
8. 존 롤즈 ─ 공정 으로서의 정의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27장 근대성과 위기

1. 근대성 비판
2. 마르틴 하이데거 ─ 시적인 것을 통하여
3. 한나 아렌트 ─ 비타 악티바
4. 가다머 ─ 해석학적 전통
5. 데리다, 푸코 그리고 로티 ─ 해체와 비판
6. 위르겐 하버마스 ─ 논변 제시를 통해서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